전체 글35 유치 나는 순서는? 치아 관리하기 (양치하기) 1살이 되기 전에 잇몸을 뚫고 나온 치아는 60쯤 되면 무기력하게 떨어져 나간다. 사실 우리 몸은 소비재라고 하였다. 그중에서 치아는 관리가 부실하면 30대에도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우리 몸의 소비재이다. 교체 가능한 소비재이다. 그리고 아무리 관리를 잘하여도 60이 넘어가면 이런저런 이유로 병원에 갈 수밖에 없다. 유치 나는 시기 일반적으로 태어나고 6~7개월쯤 잇몸을 뚫고 나오기 시작한다. 우리가 보는 치아는 태어나고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잉태하고 뼈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같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2~3년 사이에 걸쳐서 나오게 된다. 왜 아직 치아가 안 나오지? 걱정할 것이 없는 게 성장은 개인차가 심하다. 6개월에 나는 아이도 있고 돌 가까이 돼서 첫 이가 나는 아이도 있다. 물론 너무 오.. 2020. 11. 6. [게임] 스타크래프트, 갑자기 옛날 생각이 난다. 회사에서 이야기 하던 도중 새로 부임한 선배가 게임이야기를 막 하였다. 나이는 11살 정도 차이가 나지만 문화는 내 또래와 완전하게 공유하고 있었다. 누가 뭐래도 역사상 최고의 게임이다. 일단 추억에 빠져보기 전에 스타크래프트가 만든 기록들을 알아보려고 한다. 왜냐하면 블로그이니까 무언가의 정보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누적 판매량 : 1,100만개 (2013.7.1.) 일단은 PC용 게임, 온라인 전용 게임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이 팔린 PC용 전략 게임이다. 예전에는 PC게임을 구분할 때, 패키지 게임과 온라인 게임이라고 불렸다. 패키지라고 불리는 것은 일단 게임용 CD 또는 DVD, 게임 설명서(상당히 두툼하게 나온다, 요즘 한장으로 나오는 매뉴얼이 아니다), 기타 기념품, 그리고 한정판 같은 박.. 2020. 11. 5. 교류전기와 직류전기 전기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다. 교류전기, 직류전기 일단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는 실생활에서 2가지 전기를 모두 사용하고 있다. 교류전기는 가정으로 들어오는 전기는 교류전기이다. 그리고 교류전기는 전자제품의 어댑터를 통해서 직류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다. 교류전기 -> 직류전기 전자제품은 기본적으로 직류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위의 그림에서 보면 직류는 반듯하게 가는 전기를 의미하고 교류는 왔다가 갔다가 하는 전기를 의미한다. 그러면 왜 굳이 직류전기를 공급받아서 바로 사용하면 되지, 교류전기를 받아서 사용하는 것일까? 보통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이 표준화가 되거나 오랫동안 사용하였는데도 안바뀌는 것은 크게 3가지라고 생각이 든다. 첫 번째는 어떠한 거대권력(지배계급)에 의해서 이권다툼이라고 생각이 든다.. 2020. 11. 4. 임신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그 거룩한 순간 (feat. 출산율) 아이를 낳고 나니 임신과 임산? 왜 말이 다르지 하고 찾아보았다. 임신: 수정란이 자궁 내벽에 착상하여 모체로부터 영양을 공급받으며 태아로 발육하는 과정 임산: 임신 + 해산 임산부: 임신상태에 있는 부인을 임부, 그리고 분만중인 부인을 산부, 인부+산부 = 임산부 이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오늘 하고 싶은 말은 임신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전에 우리나라 출산율을 보려고 한다. 우리 임산부들이 얼마나 대단하고 위대한 일을 하는지 알아보자. 우리나라 출산율은 현재 1명이 안된다. 출산율은 혼인율의 저하와 같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출산율: 한 여자가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 결혼을 하지 않으니 출산도 당연히 낮아지게 된다. 출산율은 여성의 결혼유무와 상관이 없다. .. 2020. 11. 3.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